본문 바로가기
20세기 음악

스트라빈스키와 원시주의 음악

by sonare 2022. 11. 16.

스트라빈스키와 원시주의 음악

 

Igor Stravinsky


1. 원시주의 미술

 

     원시주의(Primitivism)란 20세기 초 미술에서 유행한 사조이다. 본 의미는 ‘고대의, 원시, 풍요로운, 재생의 가치를 추구하는 미술’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럽 자본주의에 대한 부정 심리에서 시작하여 원시시대 인간의 본성을 표현하려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기존 예술의 서구 중심적 철학에서 이탈하여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의 비서구권 전통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당대 유럽의 찬란한 문화의 이면에 존재하는 복잡한 정신생활에 대한 권태와 불안 심리가 새로운 예술적 양식과 철학으로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원시주의는 단순한 주제와 구조적 화려함에 대한 부정, 그리고 강렬한 색상과 이국적인 표현을 통해 인간의 원시적 본능을 표현한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원시주의는 재현적이거나 사실적인 표현에 가치를 두기보다 단순하고 간결하며, 추상적임과 동시에 감정을 중시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프랑스의 화가 폴 고갱(Paul Gauguin, 1848-1903)은 유럽에서 벗어나 프랑스의 식민지인 타히티에 거주하여 그의 회화나 도예 작품에 타히티어나 비서구적 표현을 차용하였다. 이러한 이국적 표현은 원시주의 양식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후에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1881-1973)와 야수파(Fauvism) 화가들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야수파란 20세기 초 프랑스의 화가 단체의 스타일에서 유래하였다. Les Fauves는 “야수”라는 의미이며 이 단체의 스타일은 야수파라는 용어로 정의되어 하나의 사조가 되었다. 야수파는 네덜란드 출신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1853-1890)의 후기 인상주의적 특성과 프랑스 신인상파 점묘주의 화가 조르주 쇠라(Georges Seurat, 1859-1891)와 폴 시냐크(Paul Signac, 1863-1935)등의 영향을 받은 표현주의의 급진적인 발전이라 할 수 있다. 야수파의 대표적 화가는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 모리스  블라밍크(Maurice de Vlaminck, 1876-1958), 앙드레 드레인(André Derain, 1880- 1954)이 있다.



2. 원시주의 음악

 

     원시주의 음악은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와 같은 인상주의 작곡가들의 19세기 후기에 발표한 곡들이 과장되고 인공적으로 세련되었다고 생각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원시주의 작곡가들은 후기 낭만주의와 인상주의 작곡가들과 다르게 보다 원색적인 음향과 단순하고 간결한 리듬에 집중하였으며, 민속 예술 모티브와 이국주의(Exotism)적 양식을 적극 차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전 세대가 이룩한 거대하고 화려한 창조적 양식을 계승하기보다 원시 예술의 원기와 인간의 본성을 표현하고 회복하려는 경향이 미술과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러시아의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의 작품 불새(The Firebird / L’oiseau de Feu, 1910), 페트루슈카(Petrushka, 1911), 그리고 봄의 제전(The Rite of Spring / Le Sacre du Printemps, 1913)이 대표적인 원시주의 음악 작품이다.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 발칸 반도 등의 민속 예술 모티브와 아프리카, 아시아와 같은 비서구문화권의 이국적 요소를 적극 차용하였으며 원시적 표현을 위해 자극적인 불협화음, 복조성(Polytonality), 일정한 리듬의 집요한 반복, 홀수 박자나 복합리듬(Polyrhythm) 등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 기존 서양 음악의 지나치게 세련되고 가식적이자 연약한 특징에 반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동시에 19세기 후기 낭만주의의 대편성 관현악 기법과 인상주의의 특징적 화성법을 계승하여 원시주의 음악이 전통과 완전히 단절된 음악이 아님을 나타낸다.

 



3. 스트라빈스키의 원시주의 음악 표현기법


   1) 리듬의 다양한 형태


     리듬은 낭만주의 음악의 취약 요소 중 하나였다. 스트라빈스키는 원시주의적 색채를 위해 다채롭고 새로운 리듬의 활용법을 고안하여 원시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표현했을뿐만아니라 20세기 음악에 있어 리듬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a) 악센트의 효과적 사용


     스트라빈스키는 일정한 악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예측하기 어려운 위치에 악센트를 부여함으로써 변박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역동적인 힘을 느끼게끔하였다.

 

<Le Sacre du Printemps>


b) 복합리듬(Polyrhythm)


     복합리듬이란 두 가지 이상의 다른 리듬이나 박자가 동시에 연주되는 것을 말하며 리듬들이 조금씩 어긋나며 새로운 음향효과를 야기하고 화려하면서 생동감 있는 효과를 연출한다.

 

<Le Sacre du Printemps>


c) 박자의 변화


     20세기 이전의 음악은 대개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박자표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스트라빈스키는 동일한 음악 내에서 박자에 자유로운 변화를 주고 리듬을 보다 복잡하게 하여 불안감과 긴장감을 조성하였다.

 

<Le Sacre du Printemps>

 

   2) 선율의 형태


     미국의 작곡가 아론 코플랜드(Aaron Copland, 1900-1990)가 “대개 선율이 그 음악의 전부다.”라고 말한 것처럼 20세기 이전까지 음악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선율이었다. 20세기 이전의 작곡가들은 음악의 동기가 되는 요소들을 통해 발전시켜 만든 선율보다 그저 감정에 호소하는 서정적인 선율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스트라빈스키는 선율을 규칙적이거나 대칭적이지 않게 구성하였으며 선법이나 온음 음계와 같은 기존 화성 체계에서 벗어난 선율을 사용하여 조성을 모호하게 하였다. 또한 민요 선율을 사용하여 민족주의적 특성도 가미하였다.


a) 중심음과 좁은 음역에 의한 반복적인 선율


     좁은 음역 내에서 중심음에 의한 반복적인 선율 형태는 러시아 민요의 특징이다.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 민요의 특징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다양한 선율에 민족주의적 요소를 부가하였다.

 

<Le Sacre du Printemps>


b) 반음계적 선율


     반음계적 선율은 선율의 조성을 모호하게 함과 동시에 신비하고 섬칫한 음향적 효과를 연출한다.

 

<Le Sacre du Printemps>

 

   3) 화성 어법


     스트라빈스키는 복조성을 통한 화성 어법을 통해 전통 화성적 조성 체계를 이탈하여 원시주의적 경향을 강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복조성은 복화음(Poly Chord)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복화음의 연장선이다. 복화음이란 두 개 이상의 다른 성격의 화음이 동시에 울리는 것이다. 이러한 복화음은 구성음들의 충돌로 불협화음적이며 강한 긴장감을 야기시킴과 동시에 풍부한 음향과 강렬한 색채를 더한다. 복조성과 복화음의 사용은 악보상의 조표가 무의미하게 되며 기존 화성법의 조성과 다른 조성의 색채감을 통해 긴장감과 신비감을 절정으로 몰아간다.

 

<Petrushka>

 

<Le Sacre du Printemps>

 

   4) 관현악적 색채


     스트라빈스키는 원시주의적 색채의 보다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대형 편성의 오케스트라를 구성하였으며 전경, 중경, 배경을 구성하는 이전의 관현악 활용방식을 탈피하여 작곡하였다.

a) 악기의 음역


     악기의 통상적인 음역대를 벗어나는 음정을 사용하여 폭넓은 소리와 강렬한 음향효과를 주어 원시주의적 색채를 표현한다.

 

<Le Sacre du Printemps>


b) 현악 파트의 반주


     현악 파트가 주선율을 연주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반주의 역할을 부여하고 일정한 음의 연속적 연주를 통해 타악기적 소리와 리듬을 표현하여 원시주의적 효과를 극대화한다. 타악기적 요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활을 아래로 긋는 다운 보잉(Down Bowing) 주법을 연속해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e Sacre du Printemps>


c) 관악 파트의 선율


     관악 파트에 주선율을 분배함에 따라 같은 선율을 반복하더라도 다양한 음역에서 다채로운 음색으로 선율을 표현하고 더욱 풍부한 음향적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Le Sacre du Printemps>


d) 악기 파트의 분할


     하나의 악기 파트를 분할하여 동일한 음색 내에서 다른 음정과 리듬을 연주하게 하여 풍성한 음향효과를 조성한다.

 

<Le Sacre du Printemps>

 


<참고 문헌>

 

     ο 김소영. "스트라빈스키의 원시주의적 작품 《봄의 제전》에 관한 분석 연구 : 신고전주의적 작품 《풀치넬라》와 비교하여" 서울 :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댓글